『인간 존재의 의미』 서평: 에드워드 윌슨이 던지는 3가지 질문
'사회생물학의 아버지' 에드워드 윌슨의 『인간 존재의 의미』는 광활한 우주와 생명의 역사 속에서 '인간'이라는 존재가 과연 무엇인지 묻는 깊이 있는 과학적 성찰입니다. 이 책은 인류의 오만함을 경계하고, 우리가 아직 스스로와 우리가 사는 지구에 대해 얼마나 모르는지를 겸손하게 인정하게 만듭니다. 책을 통해, 인간 존재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우리가 마주해야 할 3가지 거대한 질문을 발견했습니다. 1. 광활한 우주 속, 우리는 왜 외로운가? (외계인은 오지 않는다) "우리가 고향이라고 말하는 작은 파란 점은 우주의 수천억 개에 이르는 은하 중 하나인 우리 은하수의 가장자리에 놓인 티끌이나 다름없다." (p.55) 우주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넓지만, 윌슨은 외계 지성체의 존재 가능성을 매우 낮게 봅니다. 설령 존재한다 하더라도, 그들이 우리를 침략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은하를 건너올 정도의 고등 문명이라면, 굳이 지구의 자원을 탐내거나 우리를 침략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들은 이미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만들고 자원을 창조하는 기술을 가졌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우리 자신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류가 은하를 넘나들 기술력을 갖추게 된다면, 지구의 에너지 문제나 자원 문제는 이미 해결되고도 남았을 것입니다. 결국 광대한 우주 속에서 인간은 수많은 티끌 중 하나에 기생하는 미생물과도 같은 존재일지 모릅니다. 외부에서 답을 찾기보다, 우리 스스로 존재의 의미를 찾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2. 우리는 우리가 사는 행성에 대해 얼마나 아는가? "아직 발견되지 않은 무척추동물, 균류, 미생물까지 포함시키면 추정 값은 500만 종에서 1억 종까지 크게 벌어진다. 한마디로 지구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행성이다." (p.157) 우리는 스스로를 '지구의 정복자'라 칭하지만, 실상은 이제 막 걸음마를 뗀 수준에 불과합니다. 우리는 아직 꿈을 왜 꾸는지, 잠은 왜 자야 하는지조차 명확히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