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불평등 기원론』 서평: 루소가 말하는 불평등의 3가지 뿌리
장자크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은 현대 사회의 '불평등'이라는 거대한 문제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를 추적하는 날카로운 탐구서입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사회가 발전하면서 어떻게 자연 상태의 인간이 가졌던 자유와 평등을 잃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 불평등의 뿌리가 무엇인지에 대한 3가지 깊은 통찰을 얻게 됩니다. 1. 나약함의 뿌리: 타인에게 의존하는 삶 "다른 사람에게 의지할 때 인간은 약하다. 타인으로부터 해방되어야만 강해지는 것이다." (p.148) 갓 태어난 아이가 부모에게 의지하듯, 인간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갑니다. 하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정신적으로, 경제적으로 타인에게만 의존한다면, 그 의지의 대상이 사라졌을 때 한없이 약한 존재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진정한 강함은 홀로 서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누군가에게 의지하는 존재가 아니라, 누군가에게 의지가 되어줄 수 있는 단단한 개인 으로 성장할 때, 우리는 비로소 나약함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모든 동물들이 성장하며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가듯, 인간 역시 의존적인 상태를 극복하고 자립할 때 진정으로 강해집니다. 2. 불평등의 시작: '남의 시선'이라는 감옥 "각자가 다른 사람들을 주목하고 자신도 다른 사람들에게 주목받기를 원하기 시작하면서, 남들에게 인정받는 것이 어떤 가치를 갖게 되었다. ... 바로 이것이 불평등을 향한 첫걸음인 동시에 악덕을 향한 첫걸음이었다." (p.190) 루소는 불평등이 타인의 '인정'을 갈망하는 순간 시작되었다고 말합니다. 노래를 더 잘하는 사람, 힘이 더 센 사람, 외모가 더 뛰어난 사람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인간 사회에는 서열과 비교가 생겨났습니다. 저는 태어날 때부터 모든 인간이 각기 다른 능력을 가졌다는 것 자체가 이미 불평등의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은 불평등 자체를 불평하는 것이 아니라, 남의 시선에 얽매이지 않고 내가 진정으로 잘할 수 있는 고유한 능력을 찾아 개...